뉴스/이슈

2025.10.25 16:41

한미(10/29)–한중(11/1) 연쇄 정상회담, 한국서 만나는 미·중 정상회담 + APEC: 관세 전쟁·반도체 동맹 분수령

  • 멍장군 15일 전 2025.10.25 16:41
  • 34
    1

트럼프시진핑.png

 

 

다음 주, 서울·경주가 세계 외교의 무대가 됩니다. 백악관이 도널드 트럼프–시진핑 회담을 한국에서 연다고 공식 확인했고, 우리 대통령실도 10월 29일(수) 한미 정상회담, 11월 1일(토) 한중 정상회담 일정을 알렸습니다. APEC 주간과 맞물려 양자→다자 외교가 이어지는 ‘슈퍼위크’가 열리는 셈이죠.

 

이번 트럼프–시진핑 회담의 핵심 의제는 단연 통상입니다. 미국의 고율 관세 예고와 중국의 희토류·첨단소재 수출 통제가 맞물리며, 글로벌 공급망 재편과 반도체·배터리 생태계의 불확실성이 커져 왔습니다. 미·중은 추가 격화 방지와 최소한의 ‘디리스킹(위험관리)’ 가이드라인을 모색할 전망입니다. 회담 자체가 한국에서 열리는 만큼, 우리 기업·경제에 미칠 파장도 적지 않습니다.

 

한국 외교의 장은 **경주 APEC CEO 서밋(10/28~31)**과도 연결됩니다. 글로벌 기업인들이 대거 집결하고, 엔비디아 젠슨 황 등 테크 리더들의 메시지가 공급망·AI 협력 논의에 힘을 보탤 가능성이 큽니다. 양자 정상회담에서 나온 신호가 곧바로 다자 무대에서 확장되는 구조죠.

 

한미 정상회담(10/29)은 확장억제·방산 협력과 함께 반도체·배터리 투자, 대중 정책과의 정합성 조정이 관전 포인트입니다. 이어질 **한중 정상회담(11/1)**에선 희토류·중간재, 관광·문화 교류 복원, 경제장관급 상시 채널 등이 ‘실속 패키지’로 거론됩니다. 의제의 결이 다르지만, 둘 다 한국 경제안보의 숨통을 틔울 해법 찾기에 방점이 찍혀 있습니다.

 

안보 리스크도 무시할 수 없습니다. 북한의 최근 단거리 탄도미사일 발사로 긴장이 높아진 상황이라, 비핵화·억지력 메시지가 나올 공산이 큽니다. 다만 **트럼프–김정은 회동은 현재 ‘일정 없음’**으로 선을 긋는 분위기. 불확실성을 관리하면서도 대화의 문은 열어 두는 전형적 신호 관리로 보입니다.

 

정리하면, 10/29 한미 → 11/1 한중 → APEC 다자로 이어지는 연쇄 외교는 ‘관세·공급망·안보’ 3축의 최소 합의를 시험대에 올립니다. 한국 입장에선 관세 예외·규범 명시, 핵심광물 안정, 기술동맹의 실질화가 성적표의 기준이 될 겁니다. 한 줄 총평: “한반도에서 만나는 미·중—메시지는 분열보다 관리, 해법은 최대치보다 현실적 최소치있다고 생각됩니다.”

 

 

  • 공유링크 복사

    댓글목록

    profile_image
    하늘바라기  14일 전

    아싸

    2025-10-26 13: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