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이슈
울산 발전소 구조물 붕괴 참사… 인명 피해 파악·합동 조사 진행
- 멍장군 3일 전 2025.11.06 22:29
-
11
0
울산 발전소 보일러 타워 붕괴… 야간 수색 돌입·원인 조사 착수
오늘(11/6, 목·KST) 오후 울산 남구 한국동서발전 울산화력발전소에서 대형 구조물이 무너지는 사고가 발생했습니다. 사고 시각은 14시 6~7분경, 현장은 보일러 타워(약 60~70m) 해체 작업 구역이었습니다. 초기 집계에 따르면 작업자 9명 중 2명이 구조, 나머지 7명이 매몰된 것으로 추정됩니다. 구조 인원·매몰 인원은 매체마다 수치가 조금씩 달라 공식 집계는 수색 진행과 함께 변동될 수 있습니다.
소방당국은 펌프차·구조장비 등 10여 대와 인력 50~60여 명을 투입해 야간 수색 체제로 전환했으며, 경찰도 통제선을 설치해 2차 사고를 막는 중입니다. 현장 사진과 영상에선 거대한 강철 구조물이 옆으로 쓰러져 설비를 덮친 모습이 확인됩니다. 일부 매체는 “처음엔 6~7명 매몰로 파악됐으나 구조 진행 과정에서 숫자가 수정됐다”고 전했습니다.
사고 배경에 대해서는 가동 중단된 보일러 설비의 철거 작업 중 구조물이 붕괴했을 가능성이 유력합니다. 외신과 국내 보도는 현장에 있던 하청 근로자들이 주로 피해를 본 것으로 전하며, 정확한 원인 규명은 구조가 마무리되는 대로 국과수·노동당국 합동 조사로 이어질 전망입니다.
중대성에 대해
인명 피해 우려: 밀폐·협소 공간이 많은 해체 현장 특성상 2차 붕괴·추가 낙하물 위험이 큽니다. 골든타임 확보가 관건입니다.
산업안전 경보: 대형 발전설비 철거는 고중량·고소 작업이 겹쳐 크레인·버팀 구조·절단 순서 등 공정 관리가 핵심입니다. 이번 사례는 해체 공정의 안전관리 실태를 다시 점검하는 계기가 될 수 있습니다.
공공 인프라 신뢰: 발전소는 국가 기간시설입니다. 노후 설비 해체·교체 로드맵, 원청·하청 안전 책임 체계가 제도적으로 재점검될 가능성이 큽니다.
현재까지 확인된 핵심
사고 장소: 한국동서발전 울산발전본부(울산 남구 용잠동).
사고 대상: 보일러 타워 해체 중 붕괴(높이 약 60~70m).
인명 현황: 2명 구조, 5~7명 매몰 추정(언론 보도 수치 상이).
대응 상황: 소방·경찰 합동 수색, 현장 통제 및 야간 구조 돌입.
마음이 무겁네요..
갇히신 분들 최대한 빨리 구조되고 최대한 다치시는 분들 없길 바랍니다...
멍냥닷컴 : mungyang.com
관련 글
- 다음글트럼프 방한,한미정상 경주 의전 - 무궁화대훈장과 금관 선물2025.10.29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